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블로그 자동 번역·로컬라이즈

by lifetreecore 2025. 8. 23.
반응형

블로그 자동 번역·로컬라이즈

한 줄 요약: 단순 번역은 문장을 바꾸는 일, 로컬라이즈검색어·문화·규정에 맞게 팔리는 글로 바꾸는 일입니다. 오늘은 용어집→자동번역→후편집→로컬 SEO만 지켜도 즉시 다국어 유입을 만들 수 있는 실전 루틴을 제공합니다.

1. 번역과 로컬라이즈의 차이

같은 내용을 영어·일본어로 옮겨도 결과가 다릅니다. 로컬라이즈는 지역 독자가 익숙한 표현·단위·예시로 다시 쓰는 과정입니다. 예를 들어 “혈당 관리 루틴”은 영어권에서 “blood sugar routine”보다 “glucose control routine”이 더 자연스럽고, 미국 독자는 mg/dL 단위를 선호합니다. 또한 한국의 “쿠팡”이 해외에서는 “Amazon/Shopify”로 대체 설명되어야 독해가 쉬워집니다. 즉, 로컬라이즈는 용어단위사례법규를 동시에 다룹니다.

2. 10분 파이프라인: 수집→용어집→자동번역→후편집

2-1. 준비(2분)

  • 원문 선택: 트래픽이 잘 나오는 상위 3개 글부터 시작.
  • 용어집(Glossary): 브랜드명·제품명·기술어·측정단위를 표로 정리.
  • 스타일 가이드: 존대/반말, 톤(친절/전문), 금지어(과장·확정 표현) 명시.

2-2. 자동 번역(4분)

자동 번역으로 초안을 만들고, 용어집을 적용하여 일관성을 잡습니다. 숫자·단위·날짜 형식은 원문과 의미가 같도록 변환합니다(예: 1,000원→$0.79 추정 표기는 피하고, “현지 가격 참고” 식으로 처리). 문단 길이가 긴 경우 2~3문장 단위로 끊어 엔진 품질을 높입니다.

용어집 예시(복붙)
원어 | 번역 | 메모
혈당 | blood sugar / glucose | 문맥에 따라 선택
쿠팡 | Coupang | 해외권 설명: "Korean e-commerce"
고객센터 | support | support team, business hours 포함
매진/재입고 | sold out / restock | restock notification

2-3. 후편집(PE, 3분)

  • 의도 확인: 독자가 묻는 질문에 바로 답하는가?
  • 자연스런 구어체: 블로그 특성상 너무 문어체는 지양.
  • CTA 현지화: “지금 장바구니”→“Add to cart”, “문의하기”→“Contact us”.
  • 이미지 내 텍스트: 핵심 문구만 대체 이미지 or 캡션으로 보완.

3. 로컬 SEO: 키워드·슬러그·메타·hreflang

번역만으로는 검색 유입이 약합니다. 현지 사용자가 실제로 찾는 키워드로 제목/소제목/메타를 새로 정리해야 합니다. 한국의 “수면 영양제”가 영어권에선 “sleep supplement” 또는 “melatonin alternatives” 등으로 나뉘듯, 키워드 자체를 바꾸어야 도달이 생깁니다.

  • 슬러그: /sleep-routine-checklist 처럼 짧고 의미가 분명하게.
  • 메타: 140~160자 설명에 핵심 키워드 1~2개만.
  • 헤더: H1은 지역 언어, H2/H3에 관련 키워드 분산.
hreflang 예시(복붙)
<link rel="alternate" href="https://example.com/ko/post" hreflang="ko" />
<link rel="alternate" href="https://example.com/en/post" hreflang="en" />
<link rel="alternate" href="https://example.com/ja/post" hreflang="ja" />
<link rel="alternate" href="https://example.com/post" hreflang="x-default" />

내부링크도 현지 언어 버전끼리 연결하세요. 예를 들어 영어 글에서 한국어 글로 연결하면 체류가 줄 수 있습니다. 이미지 대체텍스트(alt)는 현지 키워드로 간결히 작성하면 썸네일 검색에도 유리합니다.

4. 법·문화·형식: 안전하게 확장하기

주의
  • 건강·금융 등 민감 정보는 과장/확정 표현 금지.
  • 개인정보 수집 시 고지·동의·보관 기간을 명시.
  • 광고/협찬 표기는 현지 가이드를 따르기(“Ad/PR/스폰서” 등).
형식
  • 날짜/시간: 2025-08-23 → 08/23/2025(미국), 23.08.2025(유럽 일부)
  • 숫자/통화: 1,000 → 1,000 / 1.000 등 표기 차이 주의.
  • 단위: mL/oz, km/miles 변환 표 추가 또는 괄호 병기.

문화 참조(명절, 밈, 방송 프로그램)는 현지 독자에게 낯설 수 있습니다. 대체 가능한 보편 예시로 바꾸거나 간단 설명을 곁들이면 이탈을 줄일 수 있습니다.

5. 자동화 템플릿: 시트·작업지시·검수 체크

5-1. 시트 구조(복붙)

원문URL | 대상언어 | 상태(초안/PE/완료) | 용어집버전 | 주요키워드 | 슬러그 | 메타설명 | 내부링크 | 검사자 | 게시일

5-2. 작업 지시문(프롬프트) 템플릿

너는 로컬라이즈 에디터야. 아래 원문을 대상 언어로 번역·로컬라이즈해.
- 대상: 정보성 블로그, 친절하고 간결한 톤
- 반드시 반영: 용어집 일관성, 단위/날짜 변환, CTA 현지화
- 로컬 SEO: 제목 15~20자, 슬러그, 메타설명 150자 내, H2/H3 키워드 분산
- 산출: <article> 본문 HTML만

5-3. 검수 체크리스트

  • 용어집 일치(브랜드/제품/기술어, 첫 등장에 설명).
  • 단위/날짜/화폐 변환, 문화 참조 대체.
  • 제목/슬러그/메타/alt/내부링크 현지화.
  • 오탈자/긴 문장 단락 나누기, CTA 명확성.
출시 루틴(요약)
  1. 상위 글 3개 선별 → 대상 언어 우선순위 결정.
  2. 용어집/스타일 가이드 적용해 자동 번역.
  3. 후편집으로 자연스러운 구어체·CTA 보정.
  4. 로컬 SEO 세팅(hreflang/슬러그/메타/alt).
  5. 게시 후 7일간 CTR·체류·전환 지표 확인, 1가지 개선.

자주 묻는 질문

자동 번역만으로 충분한가요?

초안 생산에는 충분하지만, 후편집(PE)이 품질을 결정합니다. 특히 제목/슬러그/메타/CTA는 반드시 현지어로 재작성하세요.

이미지 속 텍스트는 어떻게 처리하나요?

가능하면 텍스트를 배너 레이어로 빼서 다국어 버전을 따로 저장하세요. 어려우면 캡션/대체텍스트로 핵심만 보완합니다.

법·규정 차이는 어떻게 대응하나요?

건강·금융 등 민감 분야는 확정적 효능 표현을 피하고, 출처/주의문을 덧붙이세요. 광고/협찬 표기는 각 지역 가이드를 확인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