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스타 릴스 자동자막 비법 가이드
1. 핵심 요약과 준비물
릴스 자막 자동화의 핵심은 정확도·타이밍·가독성입니다. 본문은 온라인 판매자·1인 크리에이터가 매일 1~3편을 안정적으로 만들도록 폰 워크플로와 PC 워크플로를 각각 5단계로 정리했습니다. 도구 이름은 무엇을 쓰든 상관없습니다. 중요한 건 규칙을 고정하고 템플릿을 재사용하는 것입니다.
- 필수: 스마트폰(1080×1920, 30fps), 자막 자동 생성 기능이 있는 앱 또는 웹
- 선택: PC 편집기(세밀 싱크/스타일), SRT 내보내기 지원 도구
- 시간 가이드: 자동생성 3분 · 싱크/오타 수정 4분 · 스타일링 2분 · 업로드 1분
2. 실전 가이드: 폰/PC 자동자막 10분 루틴
2-1. 폰 워크플로(빨리 올릴 때)
- 영상 불러오기: 세로 9:16 파일을 앱으로 가져옵니다.
- 자동자막 생성: 언어 선택(ko-KR) → 자막 자동 생성 버튼.
- 싱크 정교화: 문장 끝마다 0.1~0.2초 여백을 둬 컷 템포를 살립니다.
- 스타일 템플릿: 글자 크기 72~88pt(1080x1920 기준), 두께 볼드, 그림자 15~25%.
- 내보내기: 번들 자막(영상에 구운 형태)으로 1080x1920, 15~20Mbps.
2-2. PC 워크플로(정교한 편집 필요 시)
- 자막 추출: 자동 전사 → SRT로 내보내기.
- 텍스트 정리: 한 줄 12~16자, 2줄 이내. 숫자·명사 위주로 축약.
- 싱크 보정: 타임코드 간격을 샷 전환과 일치. 컷마다 -0.05~+0.1초 보정.
- 스타일 프리셋: 폰트 2종(본문/강조), 브랜드 컬러 1색, 키워드에 하이라이트.
- 두 가지 출력:
- 번들 자막: 플랫폼 내 즉시 가독성 ↑
- SRT 별도: 다국어 재활용/재업로드/자막 on/off 유연성
2-3. 자막 정확도 95% 만드는 요령
- 마이크: 입과 15~25cm, 주변 소음 -30dB 이하.
- 발음: 숫자·고유명사는 또박또박, 문장 길이 8~12단어.
- BGM: 내레이션보다 -6dB, 전체 -18~-14 LUFS.
2-4. 다국어 릴스(선택)
- 원본 SRT를 복사 → 기계 번역 → 수동 교정(고유명사 우선).
- 영문은 대문자 위주로, 줄 길이는 10~12자로 더 짧게.
- 플랫폼별 업로드 시 언어 태그와 지역 해시태그를 분리.
[복붙용 체크리스트 — 10분 자막 루틴]
- 자동 전사 실행(언어 선택) → 철자·맞춤법 일괄 교정
- 한 줄 12~16자·2줄 제한 / 고유명사·숫자 강조
- 컷 전환 ±0.2초 이내로 싱크 정리
- 스타일 템플릿 적용(폰트·굵기·그림자·배경박스)
- 번들+SRT 2종 출력 → 업로드
3. 디자인·접근성·노출 최적화 체크리스트
3-1. 가독성 규칙
- 대비: 텍스트/배경 대비 4.5:1 이상(밝은 배경에는 진한 글자).
- 배치: 하단 20% 영역 확보(자막이 입·눈 가리지 않게), 상단은 제목용.
- 키워드 강조: 명사·숫자만 굵게, 이모지는 포인트 1~2개.
3-2. 브랜드 일관
- 로고는 우하단 24px 내외, 투명도 80%.
- 컬러는 브랜드 메인 1색 + 중립 배경 1색.
- 폰트는 본문/강조 2종만 사용(혼합 과다 금지).
3-3. 접근성·컴플라이언스
- 의학·재테크 등 민감 주제는 단정 표현 금지, 출처 없는 수치 금지.
- 개인정보가 포함된 화면(채팅, 메일 주소 등) 모자이크 처리.
- 음악·이미지는 상업 이용 허용 라이선스만 사용.
3-4. 노출 최적화 팁
- 첫 3초 자막은 숫자+이득. 예) “10분에 자막 끝”.
- 제목/설명: 핵심 문장 2개 + 관련 해시태그 5개.
- 고정 댓글: 템플릿/체크리스트 제공 안내 → 저장·공유 유도.
자주 묻는 질문
자동자막 오류가 잦습니다. 어떻게 줄이나요?
발음·마이크·BGM 세 가지를 먼저 다듬으세요. 고유명사는 수동으로 사전 등록하거나 편집 단계에서 일괄 치환하세요.
폰으로만 작업해도 충분한가요?
속도는 빠르지만 세밀한 싱크·스타일은 PC가 유리합니다. 초반엔 폰, 반복 제작은 PC 프리셋 조합이 효율적입니다.
SRT와 번들 자막 중 무엇이 좋나요?
릴스 단일 업로드는 번들 자막이 안정적입니다. 다국어/재활용 계획이 있으면 SRT도 함께 보관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