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리서치 10분 끝내기
1. 원칙: 검색 의도와 돈이 되는 키워드
모든 키워드는 정보 의도(알고 싶다)와 상업 의도(비교/구매)가 뒤섞여 있습니다. 정보 의도는 조회수, 상업 의도는 전환율에 기여합니다. 우리 블로그가 초반이라면 정보 의도 중심으로 신뢰를 쌓고, 중후반에는 상업 의도를 늘려 수익을 만듭니다. 중요한 기준은 다음 세 가지입니다.
- 적합성: 우리 카테고리(건강·생활·AI 도구)와 직결되는가?
- 현실성: 경쟁이 매우 높은 단어 대신 롱테일/조합 키워드인가?
- 수익성: 글이 유입되면 어떤 상품/서비스/파트너로 연결되는가?
예를 들어 “혈당 관리”는 광범위합니다. “하루 5분 혈당 루틴”, “아침 공복 혈당 커피”처럼 구체화하면 클릭률과 체류시간이 함께 오릅니다. 같은 원리는 “AI 이미지 생성기” → “썸네일용 무료 AI”로 좁히는 데에도 적용됩니다.
2. 10분 루틴: 수집→검증→매핑→우선순위
2-1. (2분) 후보 수집
- 자동완성/연관어에서 10~15개 후보를 쭉 적습니다.
- 질문형(Q&A)에서 실사용 문장을 3~5개 더합니다.
2-2. (3분) 빠른 검증
- SERP 유형 확인: 블로그/동영상/쇼핑 중 무엇이 지배적인가?
- 유사도 제거: 같은 의도 키워드는 하나로 묶어 대표만 남깁니다.
- 의도 태그: 정보/비교/구매/지역 중 하나로 표시.
2-3. (3분) 콘텐츠 매핑
- 정보형 → 블로그 롱폼(1,500~2,000자) 또는 쇼츠 튜토리얼 30초.
- 비교형 → 표/체크리스트/장단점/가격대.
- 구매형 → 상품페이지/파트너 링크로 연동.
2-4. (2분) 우선순위 확정
- 적합성(0~3)
- 쉬운 난이도(0~3)
- 수익 연결성(0~3)
- 너무 광범위/계절성 강한 키워드 남발 금지.
- 클릭 미끼형 문구는 장기 신뢰 하락.
키워드 | 의도(정보/비교/구매/지역) | SERP(블로그/동영상/쇼핑) | 난이도(상/중/하) | 연결상품/CTA | 콘텐츠형식 | 메모
3. 도구 조합: 자동완성·연관어·Q&A·상업의도
3-1. 자동완성 & 연관어
자동완성은 실제 사용자가 자주 붙여 쓰는 표현을 보여줍니다. “혈당” 뒤에 “관리, 식단, 루틴, 커피”가 붙는지, “AI 이미지” 뒤에 “썸네일, 무료, 상업용”이 오는지 확인하세요. 이 조합이 바로 제목/소제목이 됩니다.
3-2. Q&A 소스
질문형 키워드는 체류시간을 늘립니다. “~하는 법”, “~해도 되나요?”, “왜 ~일까요?”를 그대로 소제목으로 쓰면 독자의 검색 의도와 1:1로 맞닿습니다. 본문에는 체크리스트와 예시를 붙여 답하세요.
3-3. 상업 의도 시그널
- “가격, 후기, 추천, 비교, 쿠폰, 배송” 같은 단어가 붙으면 상업 의도.
- 상품 카테고리명+옵션(“마그네슘 종류/함량/부작용”)은 비교형.
- 브랜드명+모델은 구매 의도, 후기/장단점/AS 정보가 먹힙니다.
3-4. 난이도 가늠
상위 노출 결과의 길이/구조/이미지/표 여부를 훑어보면 대략적인 난이도를 알 수 있습니다. 고도 경쟁 키워드는 롱테일로 쪼개거나 지역/시간/대상자를 붙여 피봇하세요.
4. 콘텐츠 매핑: 블로그·쇼츠·상품페이지
4-1. 블로그(롱폼)
- 제목 15~20자, 문제 해결형으로.
- 소제목3(배경/해결/총평) 각 500자 이상.
- 표/체크리스트/FAQ 넣어 체류시간을 늘리기.
4-2. 쇼츠/릴스(30초)
- 훅 2초: 숫자/반전/긴급.
- 본문 3스텝: 원인→행동→결과.
- 콜투액션: 저장/팔로우 유도 한 문장.
4-3. 상품페이지/파트너
- 비교형 키워드 → 표/장단점/추천 대상.
- 구매형 키워드 → 혜택/재고/배송/교환 요점 정리.
- 신뢰요소: 인증/후기/FAQ/정책 링크.
<제목> 문제+숫자+기대효과 (15~20자)
[소제목1] 왜 이 문제가 생기나(배경)
[소제목2] 지금 당장 할 수 있는 해결책(체크리스트)
[소제목3] 요약/주의/다음 행동
5. KPI와 로그: 다음 액션으로 연결
리서치는 다음 행동을 위해 존재합니다. 아래 지표를 간단히 적산해 우선순위를 매주 갱신하세요.
- 노출 대비 클릭률(CTR): 제목/썸네일 개선의 기준.
- 체류시간: 소제목/표/FAQ가 효과적이었는지.
- 전환: 내부링크 클릭/파트너 클릭/문의·장바구니.
주간 로그: 키워드 | 게시일 | CTR | 평균체류 | 내부링크클릭 | 전환 | 다음 실험
자주 묻는 질문
무료 도구만으로 가능할까요?
가능합니다. 자동완성/연관어/Q&A 소스만으로도 충분히 10분 루틴을 돌릴 수 있습니다. 작업량이 늘면 유료 툴을 고려하되, 시간을 얼마나 절약하는지가 기준입니다.
검색량 숫자 없이도 의사결정이 되나요?
초기에는 SERP 형태·질문 빈도·상업 시그널만으로도 충분히 판단 가능합니다. 데이터가 쌓이면 클릭/체류/전환 지표로 우선순위를 정교화하세요.
키워드가 너무 경쟁이 치열합니다.
대상을 좁히세요(초보/직장인/50대), 문맥을 붙이세요(아침/야간/여름), 의도를 바꾸세요(비교/체크리스트/루틴). 세 단계를 조합하면 대부분의 주제에서 틈이 생깁니다.